본문 바로가기
음악학

순정율과 평균율: 자연스러움과 유연성의 음계 시스템 비교

by World-Wish1-Music 2025. 5. 1.
반응형

 

 

"순정률과 평균율의 차이를 비교하고, 두 음계 시스템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을 살펴봅니다. 자연스러운 음정을 중시한 순정률과 유연성을 강조한 평균율의 차이를 통해 음악 이론의 깊이를 이해해 보세요."

 

 

조율하는 피아노 내부

 

 

 

음악 이론의 핵심, 음정의 차이를 이해하다

 

음악의 발전 과정에서 음계 시스템은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중에서도 순정률(Pure Tuning)과 평균율(Equal Temperament)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음계 시스템의 중요한 기초를 이룬다. 이 두 시스템은 각각의 역사적 배경과 음향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발전해 왔으며, 각기 다른 시점에서 음악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순정률과 평균율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1. 순정률(純正律)의 역사적 배경

순정률은 고대부터 사용된 자연적인 음계 시스템이다. 순정률에서의 음정은 자연적인 정수 비율을 따르며, 이는 주파수 간의 비율이 물리적인 법칙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5도는 3:2의 비율로, 4도는 4:3의 비율로 설정된다. 이러한 비율은 자연스러운 화음을 만들어 내는데, 이러한 음계는 인간의 귀가 선호하는 자연적 조화에 매우 부합한다.

순정률의 발전

순정률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의 음악 이론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피타고라스(Pythagoras)는 음파의 정수비율을 발견하여 피타고라스 음계를 제안하였다. 피타고라스 음계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정수 비율을 기반으로 하여 5도, 3도 등의 비율을 사용했다. 이러한 음계는 고대 그리스뿐만 아니라, 중세 유럽의 교회 음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순정률이 주로 종교 음악합창 음악에서 사용되었다. 당시의 음악은 자연스럽고 조화로운 음정을 중시했으며, 순정률은 이를 실현하는 데 적합한 시스템이었기 때문이다.

 

 

2. 평균율(平均律)의 역사적 배경

평균율은 17세기부터 18세기 초까지 발전한 음계 시스템이다. 평균율은 옥타브를 12등분하여 모든 반음 간의 간격을 동일하게 만들자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다. 이 시스템은 모든 조성에서 동일한 음정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음악의 유연성을 극대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음계는 순정률의 자연스러운 비율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일부 화음이나 음정이 다소 불완전하게 들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평균율의 발전

평균율의 개념은 부르고뉴(Burgundian) 지역의 음악 이론가들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특히 Johann Sebastian Bach"평균율 클라비어곡집(The Well-Tempered Clavier)으로 유명해졌다. 바흐는 이 작품에서 평균율 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든 키에서 동일한 음정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보여주었다. 바흐의 작품은 평균율을 도입한 중요한 사례로, 서양 음악의 혁명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평균율은 서양 음악에서 표준 음계 시스템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평균율의 도입은 특히 건반 악기(피아노, 하프시코드 등)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평균율 덕분에 건반 악기는 어떤 키에서든 동일한 음정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조성 간의 전환이 원활해졌고, 다양한 음악적 표현이 가능해졌다.

 

 

3. 순정률 vs. 평균율: 두 시스템의 비교

특성 순정률 평균율
음정 간격 음정이 정수 비율로 설정되어 매우 자연스러움. 모든 반음 간 간격이 동일하며 균등하게 나누어짐.
자연스러움 매우 자연스럽고 조화로운 음정을 제공. 음정 간 차이가 있지만 균등한 간격으로 유연성을 제공.
조화 주로 5도, 3도 등의 비율로 조화가 뛰어나며 깨끗함. 균등한 간격으로 인해 일부 화음이 덜 조화롭게 들릴 수 있음.
키 전환 조성에 따라 음정이 달라져,
다른 키로의 전환이 어색할 수 있음.
모든 키에서 동일한 음정을 사용하므로 키 전환이 자유로움.
사용 사례 고전 음악, 합창 음악 등 전통적인 음악에서 주로 사용. 현대 음악, 특히 건반 악기에서 주로 사용됨.
장점 자연스러운 음정으로 매우 조화로운 소리. 유연한 조성 전환과 다양한 조성에서의 연주 가능.
단점 조성 전환에 제약이 있으며, 특정 조에서만 잘 맞음. 자연적인 음정과 차이가 있어
일부 화음이 덜 조화롭고 부자연스러울 수 있음.
 

4. 순정률과 평균율의 역사적 차이점

순정률은 고대 그리스와 중세 음악에서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음악의 자연적 조화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음악의 조화로움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 시대에 적합했다. 반면, 평균율은 17세기와 18세기에서 음악의 자유로운 전개를 위해 필요성이 대두된 시스템이다. 특히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에서 모든 키에서 동일한 음정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는 건반 악기의 발전과 맞물려 대중화되었다.

 

 

두 시스템의 장단점을 고려한 선택

순정률은 자연적인 음정을 통해 매우 조화롭고 아름다운 소리를 제공한다. 그러나 한 가지 단점은 조성 전환 시 음정이 고정되어 다른 키로의 이동이 어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 평균율어떤 키에서든 동일한 음정을 사용할 수 있어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현대의 대중음악건반 악기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두 음계 시스템은 각기 다른 음악적 요구와 환경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된다. 순정률은 고전적인 음악에서의 조화와 아름다움을, 평균율은 현대 음악에서의 유연성 및 실용성을 제공한다. 각자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