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학

톨스토이의 음악미학: 감정의 진정성과 예술의 도덕적 역할

by World-Wish1-Music 2025. 4. 7.
반응형

 

러시아의 대문호 레프 톨스토이의 『예술이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음악에 대한 그의 독창적 미학을 살펴봅니다. 감정의 진정성과 예술의 도덕적 역할에 초점을 맞춘 톨스토이의 음악관은 오늘날 대중음악과 사회적 예술에도 깊은 울림을 전합니다.

 

 

톨스토이가 책을 들고 의자에 앉아 무언가를 응시하는 초상화

 

 

 

**레프 톨스토이(Leo Tolstoy)**는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사상가로 잘 알려져 있다.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같은 대작으로 널리 사랑받는 그는 단지 소설가로서가 아니라, 도덕철학자이자 예술이론가로서도 깊은 통찰을 남겼다. 특히 그의 저서 『예술이란 무엇인가(What is Art?)』에서 드러난 예술관은 지금까지도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킨다. 그중에서도 음악에 대한 미학적 관점은 매우 독창적이면서도 도발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톨스토이의 음악미학을 중심으로, 감정의 진정성과 예술의 도덕적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예술은 감정의 전달이다

 

톨스토이에게 예술은 단순한 오락이나 미적 대상이 아니다. 그는 예술의 본질을 **‘감정의 전염(transmission of feeling)’**이라고 정의했다. 즉, 예술가는 자신이 느낀 감정을 예술작품을 통해 타인에게 전달하며, 수용자는 그 감정에 감염됨으로써 예술의 경험을 공유하게 된다. 이는 그가 직접 남긴 다음 문장에서 잘 드러난다.

“예술은 인간이 자기 안에서 느낀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 감염시키는 수단이다.”
— 레프 톨스토이, 『예술이란 무엇인가』

 

이 정의는 특히 음악에 잘 어울린다. 음악은 언어를 초월하여 감정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슬픔, 기쁨, 두려움, 희망 같은 복잡한 감정들이 음악을 통해 생생하게 표현되며, 이는 듣는 이의 마음을 움직인다. 말보다 더 직접적으로 감정을 전할 수 있는 매체로서, 음악은 톨스토이의 예술 정의와 깊이 맞닿아 있다.

 

2. 형식보다 내용, 기술보다 진정성

 

톨스토이는 예술의 형식이나 기술적 완성도보다, 감정의 진정성과 도덕성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아무리 정교한 구성과 높은 기술력을 가진 예술이라 해도, 그 안에 진실한 감정이 없다면 그는 그것을 ‘타락한 예술’로 간주하였다. 그는 특히 19세기 후반 유럽 고전음악의 형식주의적 경향을 강하게 비판했다. 베토벤의 후기 작품, 바그너의 오페라, 쇼팽의 낭만적 피아노 곡들은 그에게 있어 지나치게 복잡하고, 감정의 순수성보다는 지적 과시나 귀족 취향을 위한 작품으로 보였다. 이런 예술은 진정한 공감이나 감동을 일으키기보다는, 오히려 감정을 왜곡하고 인간성을 훼손한다고 본 것이다. 반면, 그는 러시아 농민들의 민속음악이나 단순한 멜로디 속에서 오히려 더 진실되고 보편적인 감정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사람들 모두가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음악이야말로 진정한 예술이라는 그의 철학이 여기에 반영되어 있다.

 

3. 예술의 도덕적 사명

 

톨스토이의 예술관은 단순한 ‘감정의 전달’을 넘어선다. 그는 예술이 사회적, 도덕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믿었다. 즉, 예술은 인간을 더 나은 존재로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하며, 공동체를 형성하고 사람들 사이에 사랑과 연대를 일깨우는 힘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다음과 같이 구분했다.

  • 좋은 예술: 모든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사랑, 고통, 연민, 희망 등 보편적인 감정을 공유하게 만드는 예술
  • 나쁜 예술: 엘리트만 즐길 수 있고, 허영과 쾌락을 조장하며, 인간성을 해치는 감정을 전파하는 예술

그는 예술이 단순한 심미적 쾌락이 아니라, 도덕적 공동체 형성의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오늘날 예술의 사회적 책임과도 연결되는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4. 톨스토이 음악미학의 의의와 한계

 

✅ 의의

  • 감정 중심의 예술 이해: 예술을 대중과 연결 짓고, 공감 능력과 정서적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도덕성과 진정성의 강조: 단순한 취미나 엘리트 문화가 아닌, 삶의 윤리적 변화 수단으로써 예술을 재정의했다.
  • 음악의 사회적 역할 조명: 음악을 통해 공동체적 가치를 회복할 수 있다는 이상을 제시했다.

❌ 한계

  • 형식적 아름다움 경시: 기술적·구조적 완성도나 예술적 자율성을 과소평가했다.
  • 도덕성 중심의 협소한 기준: 예술의 다양한 표현 가능성과 해석을 제한할 수 있는 도덕주의적 태도
  • 주관성의 문제: ‘진정성 있는 감정’이라는 기준이 모호하고,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

 

5. 정리: 톨스토이 음악미학 핵심 요약

구분 내용
예술의 정의 감정의 전달과 감염
평가 기준 진정성, 도덕성, 감정의 순수성
비판 대상 형식주의, 난해한 예술, 상류층 전용 예술
예술의 역할 사회적 공감 형성, 인간성 고양
적용 예시 민속 음악, 단순하고 정서적인 선율

 

오늘날의 예술과의 연결

톨스토이의 음악미학은 오늘날 대중음악, 사회참여 예술, 힐링음악과도 깊은 연결점을 가진다. 진정성 있는 감정을 담아내는 음악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위로를 준다. 또한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음악들—예를 들어 환경운동, 인권운동, 평화운동과 관련된 곡들—은 톨스토이가 말한 예술의 도덕적 사명을 실현하고 있다. 비록 그의 기준이 시대를 초월해 모두에게 적용되기엔 한계가 있지만, ‘감정과 도덕’을 중심으로 예술을 바라보려는 시도는 오늘날에도 유의미하다. 감동을 주는 음악은 기술이 아니라 진심에서 시작된다는 것, 그것이 톨스토이 음악미학의 핵심 메시지인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