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학

그리움의 노래, 50년을 이어온 ‘얼굴’의 또 다른 이름

by World-Wish1-Music 2025. 7. 4.
반응형

 

 

〈보고 싶은 얼굴〉은 국민가곡 〈얼굴〉의 후속곡으로, 작곡가 신귀복과 시인 김치경이 50년 만에 다시 그려낸 그리움의 노래입니다. 가단조, 6/8박자, 세도막 형식으로 구성된 이 곡은 한국 가곡 특유의 서정성과 정서를 깊이 있게 담아냅니다.

 

 

곡의 탄생 배경: 국민가곡 〈얼굴〉의 감정적 후속편

1967년 발표되어 지금까지도 널리 사랑받고 있는 신귀복 작곡의 〈얼굴〉은 한국 가곡의 대표작으로 꼽히며, 세월이 흐를수록 더욱 간절한 그리움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로부터 약 50년 후, 작곡가 신귀복은 새로운 감정의 깊이를 담은 음악을 만들고자 먼저 곡을 완성한 뒤, 시인 김치경에게 가사를 의뢰합니다. 그렇게 탄생한 곡이 바로 〈보고 싶은 얼굴〉입니다.

 

 

주제와 가사: 일상에 깃든 그리움

〈보고 싶은 얼굴〉은 세월 속에서 더욱 선명해지는 그리운 얼굴(어머니, 연인, 혹은 소중한 이)에 대한 감정을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풀잎만 보아도 보고 싶은 너의 얼굴”
“동그라미 그리려다 무심코 그린 얼굴”
“떨어지는 눈물에 맺혀진 너의 모습”

 

이처럼 곡의 가사는 자연의 이미지(풀잎, 이슬, 동그라미 등)를 통해 그리움의 감정을 시적으로 형상화합니다. 일상적인 풍경 속에서 떠오르는 추억은 듣는 이로 하여금 자신만의 그리운 얼굴을 떠올리게 하죠.

 

https://www.youtube.com/watch?v=OexHsETkuUs

70주년 현충일 추념식에서 나를 울컥하게 만든 소프라노 이해원의 "보고 싶은 얼굴" (작사 김치경 작곡 신귀복)

 

 

음악적 구조와 형식: 세도막 형식(A-B-A)의 서정성

  • 조성: 가단조
  • 박자: 6/8박자
  • 형식: 세도막 형식 (A-B-A)

음악은 느리고 서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말하듯 부르는 창법이 요구됩니다. 감정의 흐름은 다음과 같이 전개됩니다.

  • 1부(A): 그리운 얼굴을 떠올리는 감정
  • 2부(B):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그리움의 깊이
  • 3부(A): 다시 한 번 그리움을 반복하며 여운을 남김

전체적으로는 단순한 선율, 절제된 감정, 담백한 화성으로 구성되어, 한국 가곡 특유의 정서와 아름다움을 잘 드러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o3oUkDUNco

보고싶은 얼굴 (얼굴 후속곡)

 

 

감상 포인트: 공감과 울림의 서정시

  • 서정성과 절제미: 과장 없이 담백하게 표현된 감정이 오히려 더 깊은 울림을 줍니다.
  • 보편적 공감: 누구나 마음속에 간직한 ‘그리운 얼굴’이 있어, 이 곡은 세대를 넘어 폭넓은 감정적 공감을 이끌어냅니다.
  • 자연 속 이미지: 시각적 상징이 강한 가사 덕분에 한 편의 서정시를 감상하는 듯한 인상을 줍니다.

 

신귀복의 음악 세계 속 '얼굴'이라는 테마

〈보고 싶은 얼굴〉은 단순한 후속곡을 넘어, 신귀복 작곡가의 대표작 〈얼굴〉이 남긴 정서를 시간의 흐름을 반영하여 새롭게 풀어낸 작품입니다.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감정’이라는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하며, 그 감정을 현대적인 감수성으로 재조명한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신귀복은 이 곡을 “〈얼굴〉을 작곡할 때처럼 단숨에 완성했다”고 말하며, 변하지 않는 감정의 힘그리움의 순수성을 다시 한 번 음악으로 구현해 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vvJHkOrbtc

보고싶은 얼굴(얼굴 후편)/김치경 시/신귀복 작곡/소프라노 김지현

 

 

마무리하며: 오랜 시간 속에서도 여전히 보고 싶은 그 얼굴

〈보고 싶은 얼굴〉은 추억, 세월, 감정의 깊이를 노래하는 한국 가곡의 정수입니다. 단순히 과거를 회상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재의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감정 — 그리움 — 을 담고 있어 많은 이들의 마음을 울립니다. 이 곡은 우리 각자의 마음에 남아 있는  그리운 얼굴을 떠올리게 하며, 음악을 통해 위로와 회복을 전하는 가곡의 힘을 다시금 느끼게 해 줍니다.

 

 

📎 관련 정보 요약

  • 곡명: 보고 싶은 얼굴
  • 작곡: 신귀복
  • 작사: 김치경
  • 형식: 가단조, 6/8박자, 세도막 형식
  • 발표 시기: 2010년대 중반
  • 전작과의 관계: 1967년 국민가곡 〈얼굴〉의 후속 정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