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학

현대 한국 가곡 《시간에 기대어》 : 시간 속 인간의 나약함과 회복을 노래하다

by World-Wish1-Music 2025. 5. 8.
반응형

 

 

현대 한국 가곡 《시간에 기대어》는 작곡가 최진이 가사와 곡을 직접 창작한 작품으로, 사랑과 이별, 시간의 흐름 속 인간의 나약함과 회복을 섬세하게 그립니다. 바리톤 고성현의 음색과 함께 깊은 감동을 선사하는 이 곡의 시적 해석과 감상 포인트를 소개합니다.

 

 

 

 

 

최진 작곡, 바리톤 고성현 초연의 현대 한국 가곡

 

현대 한국 가곡 중 정서적 울림이 깊은 작품으로 꼽히는 《시간에 기대어》는 작곡가 최진이 직접 가사와 곡을 쓴 창작 가곡으로, 2016년 바리톤 고성현의 음반을 통해 처음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이 곡은 사랑과 이별, 시간, 그리고 인간의 회복력이라는 보편적 주제를 감성적이면서도 절제된 음악 언어로 풀어낸 수작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XGapfkyfz94&list=RDXGapfkyfz94&start_radio=1

고성현 - 시간에 기대어

 

작품 개요

  • 제목: 《시간에 기대어》
  • 작곡가 및 작사: 최진
  • 초연: 2016년, 바리톤 고성현
  • 장르: 현대 창작 가곡 (Korean Art Song)

《시간에 기대어》는 이별 후의 감정, 인생의 후회, 그리고 흐르는 시간 속에서 치유되어 가는 인간의 모습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가사와 음악은 한 사람의 내면 풍경을 고요히 비추며, 듣는 이의 과거 기억과 감정을 자극한다.

 

 

가사의 시적 해석과 주제 의식

1. 그리움과 기다림의 정서

“저 언덕 너머 어딘가 그대가 살고 있을까”

 

이 문장은 물리적 거리뿐 아니라 정서적 거리까지 함축한다. 이별한 연인을 향한 막연한 그리움과 기대는, 누구나 한 번쯤 겪는 사랑의 잔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2. 시간에 대한 의지와 인간의 나약함

“계절이 수놓은 시간이란 덤 위에 너와 난 나약한 사람”

 

시간은 삶의 덤처럼 흐르고, 인간은 그 위에 존재하는 나약한 존재로 등장한다. 이는 존재론적 성찰을 유도하며, 인간의 무력함과 그로 인한 연대의 가능성까지 암시한다.

3. 후회, 수용, 그리고 기억의 힘

“난 기억하오, 난 추억하오, 소원해져 버린 우리의 관계도 사랑하오”

 

이별을 인정하면서도, 그 안에서 여전히 사랑을 간직하고자 하는 성숙한 감정의 표현이다. 단순한 회상이 아니라, ‘그 또한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태도는 듣는 이에게 따뜻한 위로를 전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VXCVyJSn-j0

손태진, 박상돈 - 시간에 기대어

 

 

음악적 특징과 감상 포인트

1. 절제된 선율, 섬세한 감정 표현

최진 작곡가의 선율은 화려하지 않지만, 바로 그 점이 이 곡의 내면적 정서를 더욱 강하게 만든다. 바리톤의 깊은 음색은 쓸쓸함과 따뜻함을 동시에 품으며, 감정의 과잉 없이도 깊은 울림을 전달한다.

2. 반복의 미학

“그리워하고 또 잊어야 하는 그 시간에 기댄 우리”라는 후렴구는 반복을 통해 기억과 망각의 순환성을 음악적으로 형상화한다. 이는 곡의 전체 구조 속에서 중요한 심리적 장치로 작용한다.

3. 시간의 흐름과 치유

이 곡은 단지 슬픔을 노래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시간에 기대어 살아가는 모습 속에, 결국 치유와 회복, 수용의 가능성을 노래하며 긍정적인 감정으로 청자를 이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JSVfWvzkM4

김주택 - 시간에 기대어

 

 

학술적 시사점과 문화적 맥락

《시간에 기대어》는 한국 현대 가곡의 흐름 속에서 다음과 같은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1. 작곡가-작사가 일체화: 작곡가가 직접 가사를 썼다는 점에서 음악과 시의 긴밀한 통합을 보여준다.
  2. 보편성과 개별성의 조화: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사랑과 이별의 감정을, 개인적이지만 과장되지 않게 표현한 점에서 예술적 절제미가 돋보인다.
  3. 현대 한국 예술가곡의 정체성 강화: 서구 예술가곡의 형식을 한국어 시어로 자연스럽게 풀어내며, 한국 창작가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xIQGXKN_uA

구본수 - 시간에 기대어

 

 

시간이 주는 위로와 삶의 복원력

《시간에 기대어》는 단순히 이별을 슬퍼하거나 사랑을 그리워하는 노래가 아니다. 이 곡은 시간이라는 매개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회복되고 다시 살아갈 수 있는가에 대한 음악적 성찰이다. 삶은 반복과 망각, 기억과 상실의 순환이며, 우리는 모두 그 시간에 기대어 살아간다. 이 가곡은 그러한 인간 존재의 진실을 정제된 언어와 선율로 풀어내며, 깊은 공감과 위로를 선사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r6uS6d2nMfo

손지수 - 시간에 기대어

 

 

함께 감상하면 좋은 곡

  • 이영조: 가곡 〈추억〉
  • 정태봉: 가곡 〈내 마음의 강물〉
  • 김효근: 가곡 〈첫 사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