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학

음악을 바라보는 네 가지 철학: 관련주의, 형식주의, 표현주의, 절대표현주의의 심층 비교

by World-Wish1-Music 2025. 4. 30.
반응형

 

음악은 인간의 감정, 사고, 문화를 반영하는 가장 복합적인 예술 중 하나다. 그렇기에 음악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방식도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이 글에서는 음악 미학의 대표적인 네 가지 철학적 관점인 관련주의, 형식주의, 표현주의, 절대표현주의를 학술적으로 분석하고, 각 사조의 철학적 기반, 대표 인물, 역사적 배경, 서로 간의 차이점을 정리한다.

 

 

음악 감상

 

1. 관련주의 (Referentialism)

 

개념

관련주의는 음악이 단지 음의 구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세계의 개념, 감정, 서사 등을 지시하거나 상징한다고 보는 관점이다.

세부 분류

① 묘사적 관련주의 (Descriptive Referentialism)

  • 정의: 음악이 구체적인 장면이나 대상, 줄거리 등을 묘사한다고 봄
  • 대표 예: 비발디의 「사계」,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
  • 철학적 배경: 플라톤의 모방 이론(미메시스)
  • 역사적 연관성: 바로크 시대 음악은 종종 회화적 효과와 자연 모사를 추구하며, 이 사조의 영향을 받았다

② 표현적 관련주의 (Expressive Referentialism)

  • 정의: 음악이 감정이나 정서를 외부로 드러내고 전달할 수 있다고 봄
  • 대표 인물:
    • 톨스토이: 예술은 감정의 감염이며 도덕적 진정성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
    • 수잔 랭거: 음악은 감정의 ‘형식적 상징’이라고 보며 구조를 통해 정서를 표현
    • 쿠퍼(W.T. Cooper): 음악은 인간 정서의 직접적 표출 수단이라고 분석

핵심 문장

관련주의는 음악이 '무엇을 표현하는가'에 주목하며, 감정이든 풍경이든 외부 대상과의 연결성을 강조한다.

 

2. 형식주의 (Formalism)

 

개념

형식주의는 음악의 가치를 내부 구조나 형식, 조화, 리듬, 음형 등 자율적 요소에서 찾는다. 음악은 다른 개념을 표현하지 않으며, 오직 그 자체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대표 인물

  • 한슬릭(Ed. Hanslick): 『음악의 미학에 대하여』에서 "음악의 내용은 감정이 아니라 형식이다"라고 주장

역사적 배경

  • 고전주의 시대(하이든, 모차르트, 초기 베토벤)의 음악적 특징은 구조의 균형과 자율성 강조
  • 칸트의 예술자율성과도 철학적으로 연결

핵심 문장

음악은 '자기완결적 구조'로서,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든 상관없이 오로지 형식 속에 미가 있다.

 

3. 표현주의 (Expressionism)

 

개념

표현주의는 음악이 창작자의 내면적 감정, 무의식, 불안, 갈등 등을 표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감정 전달보다는 감정의 직접적 표출에 가까운 관점이다.

대표 인물

  • 아놀드 쇤베르크: 전통 조성을 탈피한 무조음악으로 개인의 심리를 표현
  • 수잔 랭거: 감정의 상징 구조로서 음악을 설명하며 표현주의적 해석을 제시

역사적 맥락

  • 20세기 초반, 1차 세계대전 전후 유럽 사회의 불안과 혼돈 속에서 등장
  • 무조음악, 표현파 회화, 실존주의 철학과 함께 전개됨

핵심 문장

표현주의 음악은 ‘무엇을 표현하는가’보다는 ‘어떻게 정서를 폭발시키는가’에 집중한다.

 

4. 절대표현주의 (Absolute Expressionism)

 

개념

절대표현주의는 음악이 구체적 외부 대상이나 줄거리를 표현하지 않으면서도, 감정 구조를 내재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형식주의와 표현주의의 절충적 위치에 있다.

대표 인물

  • 레너드 마이어 (Leonard B. Meyer): 『감정과 의미 in 음악』에서 "음악은 구조를 통해 감정의 패턴을 생성한다"라고 설명

철학적 핵심

  • 감정은 단순히 흘러나오는 것이 아니라 기대–지연–해소라는 구조 속에서 생긴다
  • 의미는 외부 개념에 있지 않고 음악 내부의 문맥에서 발생

핵심 문장

절대표현주의는 음악의 감정 표현이 외부 세계를 지시하지 않아도, 내부 구조를 통해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

 

 

 

음악을 바라보는 철학적 관점은 시대와 철학, 작곡가의 미학적 태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었다. **형식 그 자체를 예술로 보는 태도(형식주의)**에서부터, **음악을 감정이나 외부 세계의 언어로 이해하는 시각(관련주의, 표현주의)**까지, 이들 사조는 오늘날에도 음악 해석, 작곡, 감상법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음악을 '어떻게 듣는가'에 따라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 역시 달라진다. 당신은 어떤 사조에 더 가까운가?

 
 
낭만주의와 표현주의 미학: 감정과 상상력, 그리고 강렬한 내면의 표현
 

낭만주의와 표현주의 미학: 감정과 상상력, 그리고 강렬한 내면의 표현

낭만주의와 표현주의 미학 비교 분석. 감정과 상상력, 고통과 실험을 통해 예술이 시대정신을 어떻게 반영했는지 살펴봅니다. 예술은 시대의 정신을 비추는 거울이다. 그리고 그 거울은 시대마

world-wish1.com

 

 
 

🎼절대표현주의 미학: 형식과 감정의 조화로 본 음악의 본질

절대표현주의는 형식미와 감정표현을 통합한 음악미학 이론입니다. 베토벤, 드뷔시 작품 분석과 함께 쉽게 이해해 보세요. 음악은 단지 아름다운 소리의 조합일까, 아니면 인간 감정의 깊이를

world-wish1.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