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학

고전주의 음악과 형식주의 미학: 구조 속에서 피어난 음악의 이상

by World-Wish1-Music 2025. 4. 20.
반응형

 

 

이성과 질서가 지배하던 시대, 음악은 어떻게 완벽한 형식을 통해 아름다움을 구현했을까? 고전주의 형식주의 미학의 깊이를 들여다봅니다.

 

 

고전주의 음악은 음악사에서 가장 질서 정연하고 구조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시대의 산물이다. 이 시대의 음악은 단순히 감정을 표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형식(Form) 그 자체를 통해 미적 가치를 구현하려 했다. 이러한 특징은 **형식주의 미학(Formalism)**이라는 사조와 깊은 관련을 맺는다. 본 글에서는 고전주의 음악의 주요 특징과 함께, 이를 바라보는 형식주의 미학의 시각을 분석하고, 우리가 왜 여전히 고전주의 음악에 감동받는지를 탐구해 본다.

 

하프시코드, 바이올린, 첼로 3중주 실내악 연주 장면 (하이든, 모짜르트 시대)

 

 

고전주의 음악이란? - 명확성과 질서의 미학

고전주의(Classicism)는 음악사에서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유럽을 중심으로 발전한 음악 양식이다. 이 시기는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초기) 등의 작곡가들이 중심이 되었으며, 음악의 감정적 표현보다 구조적 조화와 형식적 완결성을 보다 더 중요하게 여겼다.

 

고전주의 음악의 주요 특징

  • 소나타 형식(Sonata Form) 중심의 작곡 기법
  • 조화롭고 대칭적인 악절 구조
  • 균형 잡힌 멜로디와 단순한 화성 진행
  • 감정 표현보다는 구조의 논리성 강조
  • 실내악과 교향곡의 발전

고전주의 음악은 바로크 음악의 복잡성과 장식성을 벗어나, 명료함과 절제된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새로운 시대의 감수성을 반영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WX2ozwjbyQ

아벨 콰르텟 :: 하이든 - 현악 4중주, ‘황제’ - 2악장 / J. Haydn - String Quartet No.62, “Emperor” - 2nd mov.

 

형식주의 미학이란? - 내용보다 구조를 중시한 미학적 접근

**형식주의 미학(Formalism)**은 예술작품을 감정 표현이나 이야기 전달보다는, 작품 내부의 구성요소와 구조 자체로 이해하려는 미학 이론이다. 따라서 음악에서는 특히, 선율, 리듬, 화성, 형식 같은 음악 내부의 구조적 요소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한슬릭의 음악미학

형식주의 음악 미학의 대표 학자 **에두아르트 한슬릭(Edouard Hanslick)**은 『음악미의 정수(Vom Musikalisch-Schönen, 1854)』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음악의 미는 감정의 모방이 아니라, 소리의 형식적 움직임 자체에 있다.”

한슬릭은 음악을 감정의 표현 수단으로 보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음악이 자율적이고 구조적인 예술이며, 듣는 이가 느끼는 감정은 음악 자체가 아닌 수용자의 주관적 반응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이는 **음악의 자율성(Aesthetic Autonomy)**이라는 개념과도 연결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WQ2ejGuLqv0&t=1135s

W.A.Mozart, Piano Concerto No.21 In C Major K.467- Pf.YeolEum Son

 

고전주의 음악과 형식주의 미학의 만남

고전주의 음악은 형식주의 미학의 이상형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시대 음악은 감정 표현보다는, 엄격한 형식의 완성도를 통해 미를 구현했기 때문이다.

 

1. 소나타 형식의 논리적 구성

고전주의 음악에서 가장 많이 쓰인 소나타 형식은 전통적인 형식 미학의 핵심이다.

  • 제시부(Exposition): 주제를 명확하게 소개
  • 전개부(Development): 주제를 발전시키며 긴장 유발
  • 재현부(Recapitulation): 처음 주제를 재정립하여 안정감 부여

이 구조는 논리적인 흐름을 가진 하나의 음악적 논증처럼 기능하며, 듣는 이는 이 흐름을 인식하고 예측하면서 구조적 쾌감을 느끼게 된다.

 

2. 감정보다 형식적 아름다움의 강조

고전주의 음악은 감정보다는 비례, 대칭, 반복과 대비를 통한 형식적 조화를 중시했다. 이는 형식주의 미학에서 중시하는 구조 중심의 감상 태도와 일치한다.

 

3. 자율 예술로서의 음악

고전주의는 음악을 종교적, 문학적, 회화적 의미에서 독립된, 그 자체로 완결된 예술로 보았다. 이는 음악이 외부 세계나 감정을 묘사하려는 수단이 아니라, 소리와 구조의 순수한 예술이라는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GILfz0fu04

[노부스 콰르텟] 하이든 / 현악사중주 '십자가 위의 일곱말씀', 작품51-7 "주님, 당신의 손에 제 영혼을 맡깁니다"

 

다른 시각: 형식주의에 대한 보완적 이해

물론 고전주의 음악을 오로지 형식만으로 이해하는 것은 지나치게 단편적일 수 있다. 특히 모차르트의 오페라, 베토벤의 후기 소나타 등은 인간의 감정, 갈등, 극적 전개를 담고 있어, 단순한 형식적 분석으로는 부족한 경우도 있다.

 

형식주의의 한계

  • 감정, 이야기, 사회적 맥락 등을 소외시킴
  • 낭만주의 음악에서는 거의 맞지 않음 (예: 슈만, 리스트, 바그너 등)
  • 감상자 경험의 주관성을 배제함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주의 음악은 그 형식적 아름다움을 이해하지 않고는 온전히 감상하기 어려운 음악이며, 형식주의 미학은 이 음악의 본질을 꿰뚫는 해석 방식 중 하나임은 분명하다.

 

 

고전주의 음악의 구조 속에 담긴 인간의 이상

오늘날에도 우리는 하이든의 현악 4중주,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베토벤의 초기 교향곡에서 구조적 아름다움과 질서를 느낀다. 이것은 단지 감정의 표현이 아니라, 음악 자체가 내포한 질서와 논리의 힘 때문이다. 형식주의 미학은 우리가 고전주의 음악을 단순히 ‘좋은 멜로디’ 이상의 것으로 이해하게 해 준다. 음악이 인간 이성의 가장 정제된 표현일 수 있다는 믿음. 고전주의 음악은 바로 그 이상을, 완벽에 가까운 구조 속에 담아냈다.

 

반응형